검색결과 리스트
글
일반 실행 시 작업 방법
1. 구문변환 작업(오류여부 검사.)
2. 쿼리문의 테이블이나 컬럼명등이 정확한지 확인
3. 해당 개체 소유자의 권한을 점검
4. 최적화
5. 컴파일
저장프로시저 실행 시 작업 방법
일반쿼리문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.
그러나 두번 째 실행 부터는 최초에 실행시 만들어 놓았던 실행 계획을 남겨 놓기 때문에
쿼리문과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아에 수행 속도가 훨씬 빠르다.
'DATABASE > MS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이블 복사 쿼리 (0) | 2013.09.25 |
---|---|
저장 프로시저 만들었음. (1) | 2013.09.10 |
[펌] 프로시저 만들기 (0) | 2013.08.29 |
Store Procedure (저장 프로시저) (0) | 2013.08.13 |
포트 1433에 대한 TCP/IP 연결에 실패했습니다. 오류: "Connection refused: connect. (0) | 2013.08.13 |
설정
트랙백
댓글
글
Select option
- 펼침 메뉴믈 클릭하면 늘어져서 전체 항목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어 적은 공간에 많은 세부 항목 아이템을 배치할 수 있다.
- 기본 형태.
- <SELECT name="이름">
<OPTION value="아이템1 전송값" selected>아이템1</OPTION>
...
<OPTION value="아이템n 전송값">아이템n</OPTION>
</SELECT> - name : 펄침 메뉴의 이름 지정.
- value :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에 실제로 서버에 전송되는 내용.
- selected : 문서가 로딩될 때 미리 선택되어져 나타남.
- 아이템 : 펼침 메뉴를 이루는 아이템 제목
- 출처
- http://blog.naver.com/shylove2456/150095947556
- 29. 폼태그 3 - Select option. |작성자 shylove2456
[출처] 29. 폼태그 3 - Select option. |작성자 shylove2456
style="width:120px; height:20px;" 를 select에 넣어버리면 텍스트 안보이고 화살표 표시만 나온다
<select id="sStartTime" name="sStartTime" class="select">
<option value = "">선택</option>
<option value = "00">00</option>
<option value = "01">01</option>
<option value = "02">02</option>
<option value = "03">03</option>
<option value = "04">04</option>
<option value = "05">05</option>
<option value = "06">06</option>
<option value = "07">07</option>
<option value = "08">08</option>
<option value = "09">09</option>
<option value = "10">10</option>
<option value = "11">11</option>
<option value = "12">12</option>
<option value = "13">13</option>
<option value = "14">14</option>
<option value = "15">15</option>
<option value = "16">16</option>
<option value = "17">17</option>
<option value = "18">18</option>
<option value = "19">19</option>
<option value = "20">20</option>
<option value = "21">21</option>
<option value = "22">22</option>
<option value = "23">23</option>
</select>
설정
트랙백
댓글
글
[ 웹 서버(Web Server) ]
-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송하는 것.
사용자가 클라이언트로 요청을 보내오면 그 명령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고 다시 사용자에게 답변을 보내준다.
- 사용자가 요청한 것들 중에 웹 서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것들을 톰캣과 같은 컨테이너나 PHP 모듈과 같이 처리할 수 있는 곳으로 넘겨 처리
- 웹 서버만 구축된 서버는 웹 페이지, 이미지 등 정적인 페이지를 생성하지만,
- Apache, IIS(Internet Information Server), WebtoB 등
[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(Web Application Server / WAS) ]
- EJB와 같은 빈들이 올라가게 되며, 서버에 따라 웹에 필요한 많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.
[ 컨테이너(Containner) ]
JSP와 서블릿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웹 컨테이너(Web Container) 혹은 서블릿 컨테이너(Servlet Container)라고 한다.
[ 웹 서버와 WAS의 차이점 ]
WAS : 동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서버.
[ 웹 서버와 WAS의 일반적인 구성 ]
사용자 요청(웹 브라우저) -> 웹 서버 -> WAS(동적 처리) -> 웹 서버 -> 사용자 응답 메세지(웹 브라우저)
RECENT COMMENT